응급상황인지 아닌지 확인한다.
- 응급상황 시 고려할 점
- 자기 자신을 위험한 상황에 노출시키지 않는다
- 주변에 기름이나 가스같은 위험물질이 있는지 확인한다.
- 혼자서 너무 많은 것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무엇을 할 것인지 알아본다.
- 환자의 상태 파악, 응급상황 시 우선순위
- 현장 상황 및 주변 환경이 안전한지 파악한다.
- 환자상태를 확인한다.
- 응급한 문제에 대하여 도움을 제공한다.
- 다른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환자의 상태가 위급하다고 생각되면 119에 구급차 요청
- 응급상황시 사람들은 당황한 나머지 구급차를 불러야 할 적절한 시점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응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완전히 알기전까지 119로 연락하는 것을 미루기 때문이다. 주위 사람들이 구조 요청을 하지 않은 채 일반차량으로 부상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경우가 는데 이러한 행동은 부상자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있다.
119에 연락해야할 경우
- 심한 출혈
- 물에 빠진 경우 (익사)
- 전기 감전사
- 심장 마지로 보이는 부상자
- 호흡곤란 및 호흡정지
- 질식
- 의식상태의 변화
- 중독
- 자살기도
- 경련이나 발작 (구급차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 중화상
- 마비
- 척추손상
- 입박한 분만
119연락하는 방법
응급구조 요청은 119로 연락하면 된다. 119와 연결이 되면 상담자에게 다음 사항을 말한다. 전화통화시 당황하지 말고 천천히 분명하게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 부상자의 위치를 알린다. 주소 또는 근처의 큰 건물, 이름 등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지형지물이 있으면 알려준다. 또한 부상자가 있는 장소를 "지하실에 있어요"하는 식으로 정확히 말하도록 한다.
- 부상자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화 번호와 이름을 남기는 것이 좋다
- 무슨일이 일어났는가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남편이 사다리에서 떨어졌는데 움직이지 않는다"라는 식으로 설명한다.
- 부상자 수와 기타 특별히 알려야 할 사항이 있으면 알린다.
- 부상자의 상태를 "남편의 머리에 피가 흐르고 있어요"라는 식으로 구체적으로 알리고 지금까지 실시한 응급처치에 대해서도 "출혈 부위를 압박했다"라는 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119로부터 부상자에 대한 응급처치법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도 있으 므로 전화를 끊지 않는다. 자신의 위치를 구조요원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행동한다. (예를 들어 집안의 불을 모두 켜놓는 방법도 있다). 한편 다른 사람에게 부탁했다면 전화 연결이 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하도록 한다.
신속한 응급처치와 생존율의 관계
① 병원 도착 전 응급처치 여부에 따라 부상자의 생존과 사망에 직접 적인 영향을 준다.
②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43%의 생존율을 나타내지만,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21%의 생존율에 불과 하다.
③ 심폐소생술이 10분 이상 경과 하게 되면 사망에 이르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심폐소생술 순서
1 .반응의 확인
현장의 안전을 확인한 뒤에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목소리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라고 물어본다. 의식이 있다면 환자는 대답을 하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신음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야 한다.
2 .119신고
환자의 반응이 없다면 즉시 큰 소리로 주변 사람에게 119 신고를 요청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만약 주위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즉시 가져와 사용해야 한다.
3 .호흡 확인
쓰러진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10초 이내로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환자의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인은 비정상적인 호흡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응급 의료 전화상담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가슴압박 시행
환자를 바닥이 단단하고 평평한 곳에 등을 대고 눕힌 뒤에 가슴뼈(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양팔을 쭉 편 상태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하고,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가슴 압박은 성인에서 분당 100~120회의 속도와 약 5cm 깊이(소아 4~5 cm)로 강하고 빠르게 시행한다. '하나', '둘', '셋', ..., '서른'하고 세어가면서 규칙적으로 시행하며,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5.회복자세
가슴압박 소생술을 시행하던 중에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도 회복되었는지 확인한다.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숨길)가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그 후 환자의 반응과 호흡을 관찰해야 한다. 환자의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어진다면 심정지가 재발한 것이므로 신속히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다시 시작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남은 경기 일정 (0) | 2022.12.11 |
---|---|
2022년 카타르월드컵 일정과 조별 경기 일정 (0) | 2022.11.11 |
존슨앤존슨, 발암물질 검출 "베이비파우더" 전 세계 판매 중단 (0) | 2022.08.12 |
아마존 직구 반품 (0) | 2022.07.12 |
상병수당 시범 사업 시작 (0) |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