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제란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과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하고 ,학점이 누적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학위(학사/전문학사)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열린 교육사회,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학점은행제 장점
1. 고등학교 졸업자나,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은 누구나 학점은행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수능시험,입학시험 등 별도의 준비없이 누구나 학점은행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학습의 다양한 결과물을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자격증 취득,독학학위제 합격,평가 인정 학습 과목 이수, 시간제 수업 이수 등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3.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학위 취득의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습니다. (전문학사 1년~ 1년 반, 학사 2년~3년)
4.다양한 전공의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 2011년 현재 (학사 111개 전공/ 전문학사 109개 전공)
*학점은행제 단점
1. 보통 일반 대학과 다르게 교유과학기술부 장관 명의의 학위가 나옵니다 - 네임벨류의 차이가 있습니다
- 하지만, 학점은행제로 학위를 취득하였다고 해도 손해를 본다거나 차별을 받지는 않습니다.
2. 수업이 부족합니다.
- 정말 인기있는 학과를 제외하고는 원하는 학과의 과목이 충분히 개설되어 있지 않습니다.
3. 좀더 전문적이고 실무적인 교육을 받기엔 부족합니다.
-오프라인 시간제 수업을 들을 경우 온라인 수업보다 많이 번거롭습니다.
4. 캠퍼스 생활이 없습니다.
5. 스스로 시간을 결정해서 수업을 들어야 하기 때문에 자기관리를 잘 해야 합니다.
*이용대상
- 만학의 꿈을 이루고자 하는 학습자
- 대학 편입/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 학습을 중도에 포기하였지만 학습을 계속하고 싶은 학습자
- 취업을 위해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주의사항
1. 연간 최대 이수 학점
- 학점은행제도를 통해 1년 내 이수할 수 있는 최대 학점은 42학점입니다.
-1학기 최대 이수가능한 학점은 24학점입니다.
- 한 기관에서 이수가능한 최대 학점은 학사학위105학점(35과목), 전문학사학위 60학점(20과목)입니다.
- 독학학위제, 자격증 취득을 통한 학점인정은 별도입니다.
- 연간최대 이수학점은 "평가인정학습과목 + 시간제 수업"을 모두 포함합니다. 즉 연간 최대 이수 학점이란, 내가 1년 동안 수강할 수 있는 학점이 아닌, 1년 동안 학점인정을 받을 수 있는 학점을 의미합니다.
2. 기관별 이수 제한 학점
- 전문학사(2년제):60학점
- 전문학사(3년제):90학점
- 학사 : 105점
3. 학점은행제 의무 18학점
- 전적대학교 학점,자격증, 독학학위제 등으로 학위취득에 필요한 학점을 모두 이수하였다 해도 반드시 학점은행제를 통해 18학점(6과목)을 이수해야 합니다.
4. 전적대학 최대 인정 학점
- 전문학사(2년제):80학점
- 전문학사 (3년제):120학점
- 학사 : 140학점
5. 자격증 인증개수 제한
- 학사(4년제)학위 전공자:최대 3개 자격증 학점인정 가능(일선은 최대 1개만 인정)
- 전문학사(2년제)학위 전공자 : 최대 2개 자격증 학점인정 가능(일선은 최대 1개만 인정)
- 타전공 추가학위(학사/전문학사): 전공학점으로 인정가능한 자격증 최대 1개
6. 중복과목 판단
- 평가인정학습과목, 시간제 이수과목, 학점인정대상학교에서 이수한 학점, 독학학위제 시험합격 및 면제교육과정 이수과목 중에서 어느 한 과목이라도 중복될 때에는 중복 과목을 동일 과목으로 간주하여 1개 과목에 대해서만 학점인정이 가능합니다.
몇가지 단점이 있긴 하지만 그렇게 심각한 것은 아닙니다 대학교를 다니다 자퇴해서 다녀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만큼 자기관리는 필수적입니다.
중요한 것은 목표 설정입니다. 현재 상황 , 조건에 따라 정확한 목표설정 및 정확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자신의 목표가 어떤 것인지 어떠한 과로 학위를 취득할 것인지, 학습기간은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는지 등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에서 구매시 (반품, 환불,배송료에 대하여) (0) | 2015.03.07 |
---|---|
자기소개서 쓰는 법(자기소개서 양식) (0) | 2015.03.06 |
아파트(부동산) 매매 절차, 주의사항 (0) | 2015.03.02 |
해외직구 방법(해외직구 준비, 장점, 단점 등) (0) | 2015.03.02 |
정월대보름 음식에 대하여 (0) | 201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