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를 보면 , 또 얼마나 더 늘었나 고민하게 되요.
수도세는 얼마나 더 나왔는지, 난방비는 또 얼마나 더... 이런식으로 전 달과 비교하게 되죠.
관리비를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고지서를 들고 한참 고민고민 하게 되서, 몇가지 방법을 알아봤어요.
첫번째로는, 이 방법은 아파트 자체내에서 할수 있는 방법인데요.
지하 주차장이나 아파트 복도 조명을 LED조명으로 바꾸는 거에요. LED조명은 반영구적인 조명으로 , 처음에 비용이 조금 들지만, 수명이 거의 반영구적이라 전체로 보면 훨씬 저렴해요.
지금 신축 중인 아파트들은 대개 이런 조명으로 하지만, 기존 아파트들은 그냥 일반 조명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명을 바꾸면 ,전기료 거의 40%수준 또는 50%수준으로 절약할 수 있어요. 아파트 입주민 회의를 열어서, 의견을 한번 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초반에 비용이 조금 들지만, 한번 설치하면 많이 절약할수 있으니까요.
둘째로,수선충당금과 수선 유지비로 항목이 두개로 나눠진 경우가 있어요. 다 그런 건 아니고, 일부 그런 경우가 있으니, 확인을 해보세요.
이건 중복되는 항목이니까, 하나로 합쳐서 줄여야 하거든요.
지금이라도 고지서를 한번 확인해 보세요.
셋째로,아파트 내에 불필요한 지출은 없는지 확인해 보셔야 해요. 이것은 입주민 회의 같은 것을 통해서,관리소 직원들의 과다 지출은 없는지 확인을 해야되요.
아파트 관리비는 대개 전용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평수가 큰 아파트가 좀더 많이 나오죠? 하지만, 그걸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한번쯤은 확인해 보시길 바래요.
위의 3가지 방법은 아파트 자체 내에서 할수 있는 방법이구요.
개인이 함부로 할수 없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 이번에는 개인이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볼께요.
첫번째로, 전자 제품을 살 때, 에너지 소비효율이 1등급인 걸 사는 게 좋아요 . 대부분 5등급까지 있는데, 1등급이 5등급보다 30~40% 를 절약할 수 있어요.
둘째로,외출 할 때는 코드는 꼭 빼 놓으세요. 꽂아만 놔도, 전기세는 나가거든요. 이건 TV에서 많이 들어 보셨을 거에요.그리고 전자 제품이 많은 경우, 멀티탭 이용은 필수인 거 아시죠? 마트에서 싸게 살수 있으니까 구입하시는 게 좋아요.
셋째로, 여름철의 주된 전기세 주범인 에어컨인데요. 주기적으로 필터 청소를 잘해 주세요. 청소만 잘해 줘도,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어요.
물론, 에어컨 온도를 조금 높여 두거나, 덜 사용하거나 하면 더 좋겠지만요 .
넷째로, 세탁기는 매일 돌리는 것보다 , 빨래가 모였다 싶으면 돌리는 게 좋아요. 빨랫감이 너무 많아서 안되면 할 수 없지만요.
다섯째로, 간단히 손을 씻거나, 양치질 할 때는 수돗물을 잠궈 가면서 하세요. 보통 잠깐하는 거니까, 틀어 놓고 하시는 분이 많은데, 잠궈가면서 하기만해도, 수도세를 많이 절약할 수 있어요.
일단 , 다섯 가시 정도 알아 봤구요. 이것말고도, 아파트 관리비를 줄이는 방법을 은행별로 알아봤어요.
부산은행의 경우 ,스마트폰으로 관리비를 낼수 있는 앱을 출시했다고 하네요.
출시 기념으로 5월 31일까지 다운 받으신 분은 관리비 차감, 경품, 공연관람권 , 요트 승선 체험등을 할수 있어요.
우리은행의 경우,"우리아파트관리비통장"을 출시했어요.
매월 납부할 관리비를 통장에 입금해 두면, 관리사무소로 자동 납부되는 입출식 통장이라고 하네요.
잔액이 100만원이하면,연 0.5%의 금리가 적용되고, 전자금융 이체 수수료와 우리 은행 자동화기기 이용 수수료가 월 25회 면제 된다고 하네요.
수협은행은 아파트 관리비 자동이체 고객에게 최고 월 11,000원의 할인 혜택을 지원한다고 해요.이건 3월 31일까지 신청한 고객에게만 주어지는 할인이벤트니까 얼릉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이것들 말고도, 여러 할인 카드라든지, 은행에서 하는 이벤트등도 있을 거에요.
아파트 관리비 절약하는 방법은 작은 것부터 실천 하면 가능 한 거니까, 오늘부터 해보시는 건 어떨가 싶어요.
참고로, 전국의 아파트 관리비를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요.
"장기수선계획 수립.조정"이라는 곳인데요. 이 곳에 가셔셔, 다른 아파트들과 비교도 해보시고, 구경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해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시장 불안정으로 예금 기간은 "짧게", 대출 기간은 "길게" (0) | 2014.03.31 |
---|---|
자동차 보험료 절약하기 (1) | 2014.03.27 |
계단식 금리 예금(저축은행) 가입해도 될까? 은행예금이 더 나을까? (0) | 2014.03.26 |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에 상가.공장 허용 (0) | 2014.03.13 |
준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출시 (0) | 2014.03.12 |